[속삭임 | 맷돌] 돌돌… 어처구니를 잡았다

업데이트 2009-08-23 00:00
입력 2009-08-23 00:00
깜박 잠이 들었을까. 달달달 맷돌 돌아가는 소리에 잠을 깼다. 아침나절 물에 담가둔 메밀을 어머니께서 갈고 계셨다. 커다란 대야에는 불어난 메밀이 가득했다. 도저히 줄어들 것 같지 않던 메밀이 서너 시간의 고통을 견디고서야 어머니의 마지막 숟가락을 떠났다.

“팔 아프지?“

이미지 확대


왼팔 오른팔을 번갈아 돌리던 나에게 한 손으로는 맷돌을 돌리고 다른 한 손으로는 메밀을 떠 넣으시던 어머니의 짧은 말 한마디에 하얀 메밀이 힘겹게 돌아가는 맷돌 가장자리를 슬프게 흘러내렸다.

지금처럼 간식거리가 없었던 시절 우리 6남매에게 부침개며 손두부, 그리고 갖가지 간식거리를 제공해 주던 맷돌이야기다.

중학교 1학년 때쯤인 것으로 기억난다. 저녁 무렵 우연한 기회에 어머니와 팔씨름을 한 적이 있었다. 두세 번 연거푸 지면서 어머니의 든든한 울타리를 확인하던 날, 한참을 지나 그 울타리가 땀과 고통으로 엮어진 거라는 걸 알게 된 날, 이미 어머니는 당신이 만든 세상의 울타리 밖에 서 계셨다. 그날 이후 내 가슴에서 어머니의 맷돌은 돌아가지 않았다.

그리움은 늘 한가한 시간에 찾아온다. 그때마다 아내에게 부침개를 부탁해 보지만 어머니의 손맛은 아니다. 고통과 이야기 그리고 땀방울이 뒤섞여 빗어내는 이 세상 누구도 재현할 수 없는 그 맛, 지금 내가 느끼는 그리움의 맛이다. 아내가 만들어준 부침개에 잠시 눈을 붙였을까? 마루에서 맷돌을 돌리던 어머니 모습이 실루엣처럼 낮잠 속을 지나간다.

골동품 가게 앞을 지나다 아무렇게 놓인 맷돌을 발견했다. 어머니 생각이 난다. 할 일이 아직 많은데 못다 한 이야기 아직 많은데 세상 저 건너편에 서 계신….

어처구니를 잡았다. 그때 맷돌을 돌리며 나누었던 이야기들이 새록새록 기억 속에서 재생된다. 앞마당 감나무에서 참매미가 울어댄다. “근식아 팔 아프지?” 그 짧은 한 마디가 아득한 시간의 도화선을 건너와 귓전에 이명처럼 남는다.

지천명에 그리움을 찾아 방황하는 일은 행복하다.

글·사진_ 문근식 시인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